어려운 카메라 용어 이것만 알아도 다루기 쉽다?!?!

여러분들은 카메라를 사거나 사진을 찍는다면 이쁘고 세련되고 감성적이며 누가봤을때도 사진을 잘 찍는다라는 말을 듣고 싶지 않으신가요?? 저 또한 그랬습니다. 그래서 카메라를 사기 전 카메라 입문자 들을 위한 카메라 용어 들을 간단하고 쉽게 알아 보고 또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일단 여러분들이 생각하시는 카메라는 기본적으로 휴대폰으로 찍는 휴대폰 셀카, 그리고 제가 포스팅한 x-t30ii 같은 미러리스 카메라, 그리고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본 DSLR카메라 같은 것들이 있겠죠??

그런데 이런 카메라들도 전부 다 기본이 있습니다. 카메라 기종에따라서 카메라를 만지는 법은 다르지만 우리가 sns를 하게되면 찍어서 올리는 사진은 기본적인 지식과 원리만 이해하면 누구나 사진을 잘 찍어서 올릴 수 있습니다.

카메라는 우리가 눈으로 보는 빛을 담아내는 기계입니다. 이 빛을 담아내는 기계의 원리만 알면 됩니다.

제일 기본적인 카메라 3요소가 있습니다. 셔터스피드, ISO, 조리개 입니다.

단어 자체가 굉장히 생소하실 것입니다. 생소하시겠지만 이 3가지를 안다면 어떤 카메라를 이용하시더라도 편하고 쉽게 그리고 이쁘게 사진을 찍으실 수 있습니다.

제일 초창기 카메라는 이 3가지만을 이용해서 찍었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제일 기본적이지만 제일 중요한 3가지!! 이것만 알아도 사진 이쁘게 찍습니다~~ 지금부터 하나하나 알려드리겠습니다.

그전에 제일 먼저 알아야 하실 것이 있습니다. 각 카메라마다 3가지 요소를 조절하는 설정들을 미리 아셔야 합니다. 카메라 설명서를 먼저 확인하시거나 검색엔진을 이용해서 먼저 검색하시고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한 다음 밑에 글을 읽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1번: 셔터스피드

 

제일 먼저 셔터스피드란 무엇인가??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셔터유닛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셔터유닛이 열렸다가 닫혔다 하는 시간이 셔터 스피드 입니다.

그러면 카메라는 셔터유닛이 열렸다가 닫히는 시간 동안 빛을 받게 될 것 입니다. 그러면 셔터스피드가 길면 길수록 카메라가 받는 빛의양이 많고 적으면 빛의양이 적겠죠??? 즉. 셔터스피드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는 것 입니다.

예를들어서 1초동안 빛을 받는게 길까요?? 2초동안 빛을 받는게 길까요??? 당연히 2초겠죠??? 그러면 2초동안 빛을 받았으면 1초동안 빛을 받은거 보다 2배 더 밝게 찍힌다고 보시면 됩니다.

좀더 쉽게 말하자면 셔터스피드가 빠르면 빠를수록 어둡게 찍히고 느리면 느릴수록 밝게 찍힌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셔터스피드는 빛의 양만 담는 것이 아닙니다. 빛의 궤적도 같이 담습니다.

빛의 궤적은 담는다는 말이 무슨말이냐??? 물체가 움직이면서 남긴 움직임까지 다 담는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sns를 하다보면 불꽃놀이로 LOVE 했던거 기억나시나요?? 출처를 밝힌 예시사진 보여드리겠습니다.

LOVE

출처: https://blog.naver.com/thesimpleone/220721943233

이런 사진 찍어보시거나 보신적 있지 않으신가요???

실제로 찍는사람은 엄청 폭죽을 흔들고있는데 우리 눈으로 보게되면 그냥 휘적휘적 하는것만 보이잖아요??? 또는 카메라 1초동안 찍을때 1초동안 카메라 앞을 사람이 지나갈때 그 형상까지 다 담는다는 것입니다. 사진을 찍어놓고 보면 엄청 빠르게 이동하는 것 처럼 보이게 찍히는 것이죠. 위의 예시사진도 보시면 사람의 얼굴 형태가 굉장히 흔들려 보인다는게 보이실 것입니다.

하지만 셔터스피드는 이러한 궤적까지 담아낸 다는 것 입니다. 쉽게 말하면 흔들려 보이게 찍힌다~ 이말입니다.

다른 예를 들면 셔터스피드 설정을 1/2000로 빠르게 설정을 했다고 가정하면 사람이나 물체가 움직여도 딱 한 장면만 찍히게 됩니다. 진짜 찰나의 순간을 담기 때문이죠.

셔터스피드가 빠르면 아주 찰나의 순간을 담기 때문에 예시 사진을 보여드리자면

토트넘 vs 맨시티 토트넘 vs 맨시티

출처: ‘맨시티 킬러’ 손흥민, 1골1도움+자책골…토트넘은 맨시티와 3-3 무승부로 3연패 ‘탈출’ 네이버 뉴

우리들의 캡틴 쏜! 의 경기사진을 예시로 들자면 과연 이 선수들이 이 자세로 가만히 있었을까요??? 절대 아닙니다. 분명히 움직이고 있었다는 것이죠.

이런식으로 셔터스피드가 빠르면 이런 찰나의 순간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반대로 셔터 스피드를 느리게 찍은 사진은 어떤 것이 있냐??

야경사진 다운로드 4

출처 : 선유도공원 노을, 야경 사진 찍기|작성자 불꽃투혼

출처 : https://blog.naver.com/ahr011/222896382643

보시다 싶이 야경사진이나 밤에 사진을 찍게 된다면 이렇게 이쁘게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것 입니다.

밤에 사진을 찍으면 흔들리는 이유가 카메라들을 오토로 설정해놓거나 휴대폰 카메라들 기본설정으로 셔터스피드가 오래 열리게 되어있어서 그런 것입니다.

그러면 난 흔들리는 사진 싫어!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셔터스피드를 시간을 줄이시면 됩니다.

여기까지가 셔터스피드의 원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2번: 조리개

두번째는 바로 조리개 입니다.

조리개가 무엇이냐 우리가 예전 과학시간에 배우셨다면 기억이 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눈에는 홍채라는 것이 있습니다. 홍채는 밝은곳에 있으면 빛을 적게 받기 위해서 홍채가 줄어들고 어두운 곳에 있으면 홍채가 열리면서 빛을 많이 받게 됩니다. 조리개는 이런 홍채와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리개

이런식으로 조리개는 수치화가 되어있습니다. 렌즈 리뷰하시는 분들이나 카메라를 소개하시는 분들 보시게 되면 F1.4, F2.0 막 이렇게 말할 것 입니다. 여기서 1.4 또는 2.0이 조리개 수치를 말하는 것 입니다.

수치는 숫자가 작으면 작을수록 더 많이 열리고 숫자가 크면 더 적게 열려 있다는 말입니다. 반대로 생각해야 합니다.

조리개 수치가 F1.4 렌즈는 매우 밝은 렌즈이고 F8 렌즈는 어두운 렌즈라고 보시면 됩니다.

밝은렌즈 어두운 렌즈라고해서 사진이 밝고 어둡게 찍히느냐?? 어느정도는 맞고 어느정도는 틀리다고  렌즈마다 설정이 다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렌즈에 적혀있는 조리개는 조리개를 최대로 열었을때 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리개를 최대 개방시 다른 렌즈들 보다 더 밝게 찍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조리개는 아웃포커싱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쉽게 얘기하면 초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리개를 많이 열면 아웃포커싱이 잘되는데요.

아웃포커싱

출처: 캐논코리아 주식회사

보시는 사진과 같이 배경이 흐리게 보이죠?? 이런 사진을 아웃포커싱이 잘되었다고 표현을 합니다. 반대로 조리개를 적게 열면 아웃포커싱이 잘 안됩니다.

주로 인물사진이나 뭔가를 특정지어 이쁘게 표현하고 싶을 때 쓰는 방법입니다.

렌즈중에도 조리개가 고정인 고정 조리개 렌즈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휴대폰 카메라 렌즈입니다.

-3번: ISO

대망의 마지막 3번 ISO 입니다.

ISO란 빛의 민감하게 받아들이느냐 둔감하게 받아들이느냐 입니다.

저같은 경우는 주로 밤에 이부분을 자주 만지게 되는데요. 어두운 밤에는 빛이 적기때문에 조그마한 빛도 받아들여야 하겠죠??? 그러면 ISO를 높게 설정해서 민감하게 만들어 주는 것 입니다.

그런다음 찍게 되면 조그마한 빛도 민감하게 받아들여서 어두운 밤에도 사진이 밝게 찍히게 됩니다.

ISO 또한 숫자로 표시 되어있습니다. 수치화가 되어있다는 말이죠. 이 수치는 높으면 높을수록 밝아진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ISO가 높으면 밝게 찍히고 좋을 수도 있겠네 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ISO가 높으면 사진에서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사진에 노이즈가 생긴다는게 무슨말이냐면

카메라 노이즈

출처: AI가 어둠도 걷어낸다…구글, 어두운 사진 노이즈 없애주는 AI기술 개발

왼쪽사진이 오른쪽 사진보다 뭔가 사진에 까칠까칠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예시를 들자면 이렇다는 것 입니다. 까칠까칠하게 찍혀서 안좋다는건 아닙니다. 그것만의 또 다른 감성이 있으니까요.

보이시는 왼쪽 사진처럼 노이즈를 일부러 만들게 해서 찍고싶다 하시면 ISO를 높여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보시는 사진은 예시를 든것 입니다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제가 포스팅한 xt30ii 중에 그레인 효과라고 있습니다.

예시

출처: 후지필름 공식 홈페이지

바로 이건데요 이 그레인 효과랑 노이즈랑은 다릅니다.

보통 낮에는 ISO를 낮추고 사진을 찍고 밤에는 ISO를 설정하는 것은 선택사항 입니다.

 

이 3가지로 다양한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셔터스피드를 조절해서 빛의 궤적을 찍어낼 수 있고, ISO로 노이즈를 없애거나 만들어서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아웃포커싱을 만들어서 돋보이게 사진을 찍을 수 있구요.

어떤 카메라를 들고 와도 지금 알려드린 기본 3요소만 알고 계신다면 사진 찍을 때 다양하게 찍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3가지를 마스터 하시고 나서 다른 설정을 건드리신다면 그땐 카메라 마스터가 아니라 MSG를 쳐서 얘기를 하자면 국가권력급이 되실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지금까지 투표한 사람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이 지면은 본문이 생략된
화면입니다.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